파일 유형
-rw-r--r--
총 10개의 - 문자로 파일유형 및 파일 허가권을 나타낸다.
첫번째 - : 이 파일유형이 디렉토리일경우에 d 라고나오고 그외의 일반 파일일 경우에는 - 표시된다
첫번째 - 다음부터는 3개씩끊어서 순서대로 소유자권한 , 그룹사용자권한 , 그외사용자 권한으로 구분한다.
첫번째 칸에는 r 이 들어가고 읽기권한이있다는말이다. 두번째 칸에는 w 쓰기권한 그리고 마지막 3번째칸에는 x가 들어가며 실행권한이 있다는 말이다
위에 예시를 읽어보자면 앞 파일유형을 가리는 구분 기호 이후부터 읽어본다.
파일유형 - 파일.
소유자권한 : 읽고 쓰기권한을 가지고있음.실행 안됨
그룹사용자권한 : 읽는 권한만 가지고있음. 쓰기 실행 안됨
그외사용자 권한 : 읽는 권한만 가지고있음. 쓰기 실행 안됨.
저 권한을 숫자로 나타낼수있는데
r (읽기) : 4 w (쓰기) : 2 x (실행) : 1
로 나타낼수있다, 소유자, 그룹사용자,그외사용자권한을 나타낼때는 권한이 잇는 값을 계산하여 나타낸다
만약 위에서 예시에서 보면
소유자: 6
그룹 사용자 : 4
그외사용자 :4
이렇게 숫자로 나타낼수있다.
이 권한 644형태는 명령어 touch 나 cat으로 만든파일이 처음으로 가지는 권한이다.
777권한 : 모든권한 -> 소유자,그룹사용자,그외사용자가 읽고,쓰고,실행을 할수있는 모든권한을 가질수있다.
-> (-rwxrwxrwx)
755권한 : 컴파일한후생기는 실행파일 권한
->(-rwxr-xr-x)
파일 허가권을 변경 및 소유권을 바꿀수있는 명령어
chomod
- 파일 허가권을 바꾸는 명령어이다.
- 사용법 : chmod 777 abc -> abc라는 파일을 소유자,그룹사용자,그외사용자가 모든권한을가지게 설정
chown
- 파일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이다.
- 사용법 : chown lee.lee abc -> abc라는 파일을 소유그룹 :lee 소유자 : lee 사용자로 바꾸는 설정
chown 바꿀사용자.바꿀소유그룹 파일명 ->기본형식!!
setuid
- 명령어는 아니고 소유자 권한을 빌려온다는 개념이다.
- 실행(x) 칸에 S 와 s 로 표현되며
대문자 S 는 소유자 권한을 빌려오지만 그 소유자 권한에 실행권이 없다는 것이고.
소문자 s 는 소유자 권한을 빌려오고 그 소유자 권한에 실행권이 있다는것이다.
- 파일을 실행할 경우에 파일 소유자 권한 실행한다.
- setuid 권한을 설정해주기위해서는 아까 말한 chmod 명령어를 이용하면된다.
chmod 777 abc 이 명령어에서 소유자 권한을 빌려줄수있는 파일을 만들고 싶을때는 4000을 더해주면된다.
chmod 4777 abc -> abc라는 파일에 소유자권한을 빌려줄수있는 파일 설정.
ex.-rwsr-xr-x ->setuid 로 셋팅된 파일.